게임 한글화 ⚙️

Deadbolt 한글패치 번역 기준

ꓖemini 2020. 8. 11. 21:00

나중에 몰아서 쓰면 기억 안날거 같아서 한패 만들면서 쓰는걸로

 

 

인물

언데드들은 전부 이름을 음역했습니다.

이에 반해 화염과 양초, 사신은 이름을 직역했습니다.

 

화염

일부러 일반적으로 안 쓰는 단어들을 섞어 넣었습니다.

최대한 시적인 느낌이 들도록 번역했는데, 그 느낌이 살아있는진 잘 모르겠네요...ㅋㅋ

또, 최대한 외래어를 안 쓰도록 번역했습니다

 

양초

사신한테는 딱 한 상황 빼고 존댓말로 통일했습니다.

 

임무

 

2-4: Bottle service (테이블을 잡다)

클럽 등에서 웃돈을 주고 테이블을 잡는걸 보틀 서비스라고 한다고 하네요

보틀 서비스보다는 테이블을 잡다가 의미가 더 확실하게 오는 것 같아서 이렇게 번역했습니다.

 

2-6: A lot to give (많은 걸 바쳐서)

의미 자체는 어려울 게 없는데, 구체적으로 뭘 준다는 건지 모르겠어서 고민을 좀 했습니다.

게임 내용상 잿가루를 얻으려고 대량의 뱀파이어를 바친다는 의미같아 이렇게 번역했습니다.

 

3-3: Bar hopping (2차를 가다)

술자리를 옮긴다는 뜻입니다

2차가 가장 확실하게 느낌이 올 것 같아 이렇게 번역했습니다.

 

3-4: Horrow show (공포 영화)

호러 쇼와 공포 영화 중 고민하다 후자를 선택했습니다

 

3-7 As a glass (유리처럼)

이것도 의미 자체는 번역에 큰 어려움이 없었지만, 이 스테이지에 왜 이 제목이 붙었는지를 아직까지 모르겠습니다.

무언가의 패러디나 오마주 아닐까 싶기도 한데, 검색해도 딱히 정보가 나오질 않네요.

결국 의미 그대로 번역했습니다. 혹시 아시는 분께선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
 

UI

몇 용어 빼면 전반적으로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.

 

Diegetic sound:

뜻 자체는 영화에서 장면 안에 나오는 소리를 뜻함.

몇몇 군데에선 내재 음향으로 번역했길래, 그걸 따라 썼습니다.

다이제틱 또는 몰입형이라는 번역도 고려했는데, 남들이 쓰는거 따라 쓰는 게 안전하니까요

 

 

업적

Quid pro quo:

눈에는 눈으로 번역했습니다.

 

Cassette culture:

카세트 테이프가 나왔을 때 아마추어나 인디 밴드가 카세트 테이프에 음악을 녹음해 배포했던 것을 의미합니다.

그냥 카세트 컬처나 카세트 문화로 번역할까 생각도 해봤는데,

의미가 잘 전달이 안되는 것 같아 홈레코딩으로 번역했습니다.

 

무기

총기의 이름이나 설명 번역같은 경우 이쪽으로 지식이 부족해 잘 아시는 분들께는 어색해 보일 수 있습니다.

혹시 뭔가 이상하다 싶으면 이 부분에 대해선 적극적으로 지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!

 

round/bullet/shell

다 다른 종류인건 알겠는데, 어떻게 정확히 번역해야 할지도 모르겠고,

게임 내용상 굳이 구분할 이유도 없어 한 발, 두 발, 이런 식으로 통일했습니다.

 

 

Revenant/Headhunter: 단순히 음차했습니다.

 

Death + Taxes:

죽음과 세금으로 번역. Nothing Is Certain But Death And Taxes라는 말이 있다네요?

음차할까 생각도 해봤는데 이렇게 번역했습니다.

 

.25 mousegun:

mousegun이 도대체 뭔가 싶었는데 한손에 들어오는 작은 피스톨(pocket pistol)을 mousegun이라 하는 것 같아 0.25 소형 피스톨로 번역했습니다.

 

sawn-off shotgun:

소드 오프 (샷건)과 중절식 샷건 중에 고민하다가, 배그때문에 많은 사람들한테 소드 오프가 익숙할 것 같아 소드 오프로 번역했습니다.

 

그 외에도... 무기 부분은 솔직히 미흡한 부분이 많은 것 같아 아쉬움이 남네요.

무기 부분은 진짜 피드백 꼭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..ㅠㅠ